언론보도 / 칼럼
Dental,Oral & Maxillofacial Clinic
치아 자가이식」시대 열린다 / 사랑니 등 뽑아 손상된 대체 |
작성일. 2018.07.10 작성자. 관리자 |
한 개의 치아가 빠지면 부분 틀니나 인공치아를 해야했던 종래의 방식과 달리 자신의 치아를 옮겨 심으면 치아 신경이 살아 있을뿐 아니라 기능도 정상으로 유지, 완전한 치아가 된다는 장점이 있다. 특히 인공치아를 해 넣을때의 이물질에 대한 염증반응이나 뼈·신경의 손상등 부작용도 전혀 없어 새로운 치과의술로 자리잡을 전망이다. 이대목동병원 김명래교수(치과)는 치아이식수술에 사용하는 대표적인 치아는 사랑니와 작은 어금니, 사랑니는 잇몸속에 묻힌채 잘 나오지 않는 경우가 많고 없어도 무방해 이식수술에 가장 많이 이용된다. 이같은 치아들은 방치할 경우 충치, 치아의 비정상발육, 치열이상등을 초래해 지금까지는 모두 뽑아 버려왔었다. 작은 어금니는 모양이 작아 앞니, 송곳니, 어금니등 모든 치아로 이용할 수 있다. 수술방법은 외부충격에 의해 빠진 이를 제자리에 심어주는 치아재식과 유사하다. 옮겨심은 이의 모양이 틀려 형태를 다듬어 준다는 것도 치아재식에는 없는 과정이다. 어금니를 앞니로 옮겨 모양 차이가 심할 경우 치아가 자리를 잡은 다음 형태를 다듬어 치아자가이식을 하기 가장 좋은 연령층은 치근 발육이 왕성한 16∼25세 사이이다. 이 연령층에선 5년이상 신경과 기능이 정상으로 유지되는 성공률이 90%정도인 것으로 알려져있다. 치근 발육이 끝난 30대 이후엔 이식을 해도 치아의 신경은 살지못한다. 옮긴 치아 제위치에 고정돼 본연의 기능만 유지할 수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