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입시준비 마무리에 바쁜 수험생들 가운데 턱관절 부위의 통증으로 입이 다물어지거나 벌어지지 않아 병원을 찾는 사례가 부쩍 많아지고 있다.
이는 오랜 수험준비 과정에서 오는 정신적 긴장과 스트레스로 인해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이빨을 꽉 물거나 턱관절에 무리한 힘을 가하게 되어 음식을 씹는 근육에 피로가 쌓였기 때문이다.음식을 씹는 저작근에 피로가 쌓일 경우 이의 맛물림이 비뚤어지고 턱관절 원판에 염증이 생겨 정상적인 생활이 어렵게 된다.
실제로 서울대 치과병원 구강진단과와 이대 목동병원 구강외과에 따르면 이처럼 턱관절장애를 호소하는 수험생들이 최근들어 매주 15명선에서 많게는 40명까지 몰려들고 있다는 것이다.
턱관절장애의 증세는 입을 벌리고 다물거나 또는 턱을 좌우로 움직일 때 귀앞 부위인 턱관절에서 「달그락」하는 소리가 나는 것으로 시작된다.점차 음식을 씹거나 턱을 움직이기가 어려워지면서 하품을 할 경우 귀앞 부위에 심한 통증이 느껴진다.
또 두통과 현기증,귀울림,목·어깨 통증,코 충혈,지각마비등 여러 증세가 동시에 나타남에 따라 환자들이 곧잘 정형외과,신경외과,내과,이비인후과등을 전전하다가 병세를 키우는 경우가 많다고 전문의들은 진단했다.
이대 목동병원 김명래교수(구강외과)는 『턱관절장애로 치료가 필요한 사람이 전체 국민의 5%선』이라며 『특이하게도 이들 환자중 90% 정도가 여성』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초기에 병세를 발견해서 자가요법을 실시하면 80∼90%가 수술하지 않고도 완치된다』며 아래·웃니 사이에 손가락 3개를 옆으로 해서 집어 넣었을때 들어가지 않거나,나무젓가락을 씹을때 통증이 있으면 곧바로 전문의를 찾도록 당부했다.
김교수는 이어 『턱관절장애 환자는 딱딱한 음식대신 유동식을 들고 아침·저녁으로 턱관절 부위를 온습포로 맛사지해 주면 효과적』이라면서 『그러나 습관성 안정제및 진통제 복용은 치료를 더 어렵게 하므로 삼가야 한다』고 덧붙였다.
서울대 치과병원 정성창교수(구강진단과)는 턱관절장애의 치료는 꾸준한 운동요법과 행동교정,그리고 스트레스 관리에 달려있다고 말했다.
정교수에 따르면 턱관절을 편안히 하고 목과 어깨근육을 이완시켜주는 가장 대표적인 운동요법은 목운동과 턱관절 회전운동.<박건승기자>
[출처: 서울신문에서 제공하는 기사입니다.] http://www.seoul.co.kr/news/newsView.php?id=19941214018001#csidxc0446496891006fab3ae3e60615827a 
|